2024년 하반기(7월)부터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이 시행됩니다. 대중교통할인 K패스는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들께 교통비를 환급해 주는 제도로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분들의 경우 K패스를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 K패스는 알뜰교통과는 다르기 때문에 구분하셔야 합니다.
K패스란?
K패스는 지하철, 버스 등 대중교통을 월 21차례 이상 이용할 경우 월 60회 지원 한도 내에서 교통비의 20%를 환급해 주는 제도입니다. 연간 최대 21만 6000원을 돌려받을 있으며, 특히 청소년과 저소득층은 환급 혜택을 늘려 청년은 연간 최대 32만 4000원, 저소득층은 연간 57만 6000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하루 출퇴근만 생각해도 2번이고 평일 기준 한 달 최소 40회이니 많은 교통비 절감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. K패스 혜택 대상자는 일반/청년/저소득층으로 구분이 되고이 자격에 따라 적립률과 적립금액이 달라지며, 신청 나이는 만 19세~34세까지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
K패스혜택
K패스 혜택은, 일반 이용자는 월 60회 이용 시 월 최대 18,000원, 연 최대 216,000원까지 적립되며 청년층은 월 최 대 27,000원, 연 최대 324,000원까지 적립됩니다. 마지막으로 저소득층은 월 최대 48,000원, 연 최대 576,000원까지 적립됩니다.
k패스 적립방법
일반:20% 환급금액 적립
청년:만 19~34세의 청년층은 환급금액 30%적립
저소득층(수급자 및 차상위계층):환급금액53.3%적립
■ 전환 신청
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K-패스 회원으로 전환하면서 기존 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하여 K-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★ 알뜰 계정을 유지하려면 반드시 회원 전환을 진행하세요.
★ K-패스 전환은 간단합니다. [알뜰교통카드 앱이나 웹사이트]에서 4월 30일(화)까지 [K-패스] 메뉴를 클릭하여 회원 전환
을 신청하세요.
- 로그인 후 배너를 클릭합니다.
- 주소 확인을 위해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합니다.
-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의 카드번호를 입력합니다.
- 이용약관에 동의합니다.
- K-패스 전환을 바로 신청하세요.
4월 30일까지 전환한 사용자는 5월 1일부터 즉시 K-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5월 1일 이후 전환한 사용자는 전환일부터 혜택을 적립할 수 있습니다. 전환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K-패스 환급혜택을 받을 수 없으니 기간 내에 전환하세요.
■ 신규 신청 신규 사용자는 K-패스 공식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 또는 아래의 K-패스 교통카드 발급 카드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원하는 K-패스 교통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K-패스 공식 홈페이지(korea-pass.kr)는 2024년 5월 1일에 오픈될 예정입니다. 그 전까지는 각 카드사의 홈페이지를 통해서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근로장려금 신청자격 (2024) 알아보기
근로장려금 신청자격을 설명하겠습니다. 근로장려금은 소득이 낮아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근로자에게 보조금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 근로장려금 신청자격을 얻으려면 다음 자격 요건을
111.promind100.com